QCQA_1기

TIL_1W1D_이차전지 분야 Quality Control Engineer에 대해서 알아보자!

story3395 2024. 12. 19. 22:41

[이차전지 분야의 Quality Control Engineer]

: 이차전지 품질 관리 엔지니어는 이차전지 품질을 유지하고 불량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생산 초기 단계부터 최종제품 출하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관리

 

[주요 업무]

: 이차전지 품질 직무는 크게 개발 품질 보증, 양산 품질 보증, 부품 품질 보증, 고객 품질 보증 등의 업무로 구성

 

* 개발 품질 보증 관리는 제품이 출하되기 전 완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업무를 수행

* 양산 품질 보증 관리는 출하되기 전에 완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업무를 수행

 

1. 원자재 품질 관리

불량 원인을 파악하여, 불량 원자재 사용을 방지하는 단계

- 여러 분석 장비를 사용하여, 배터리의 4대 요소 (음극, 양극, 전해질, 분리막) 등 이차전지 소재를 분석

- 양극/음극(입자의 크기, 순도, 형태), 전해질(순도, 점도), 분리막(두께, 내열성, 내구성)에 대해서 분석

 

2. 이차전지 품질 관리

- 제조 공정 과정에서 품질 모니터링을 하며 제품을 테스트하여 제품의 품질의 일관성을 평가

- 전극 제조 과정에서 물질의 혼합비율과 전극의 두께를 분석하거나 조립공정에서 양극-분리막-음극의 정렬과 압축 정도를 분석하여 이차전지의 성능을 평가를 진행

- 제품 완성 후, ·방전 테스트, 고온/저온 테스트, 내열성/충격 및 진동 테스트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음

 

[이차전지 품질 관리 규격]

: 배터리는 폭발 등 위험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배터리 안전기준에 따라서 관리해야함

-IEC 62133 표준, UL 2054 규격 등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배터리 안전 기준들이 마련되어 있으며, 제조사들은 이러한 국제 표준을 준수해야함 -> 그렇지 않을 경우 제품 출시가 어려워질 수 있음

 

*IEC 62133 표준: 가장 대표적인 배터리 안전기준이며, 리튬 이온 및 리튬 금속 이차전지의 안전성 시험 절차를 상세히 명시하고 있음 (충전, 과방전, 단락, 가압, 열 노출 등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항목들이 포함)

*UL 2054 규격: 배터리 셀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 전체에 대한 안전성 평가 기준을 다루고 있음

 

[필요한 역량 or 자격증]

: 데이터 기반 품질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이 필요하며, 성능 평가에서 사용하는 분석 장비를 활용하는 능력도 필요

 

*이차전지 분석에 사용되는 분석기기 & 기법

: EIS, ICP-OES, SEM/TEM, XRD, IR, Raman

*관련 자격증

: 품질관리기사, 품질경영기사, 통계적 공정관리기사, 품질검사기술사 등